로디온 말리놉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디온 말리놉스키는 러시아 제국, 소련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뛰어난 지휘 능력을 발휘하여 소련 원수까지 오른 인물이다. 1898년 오데사에서 태어나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 러시아 내전을 거쳐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다. 스페인 내전에도 참전하여 군사 고문으로 활동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여러 전선에서 군단을 지휘하며 스탈린그라드 전투 승리에 기여했다. 종전 후에는 자바이칼 군관구 사령관, 극동군 총사령관을 거쳐 육군 총사령관,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말리놉스키는 소련의 국방 정책 수립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중소 분쟁과 베트남 전쟁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기도 했다. 1967년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는 크렘린 벽 묘지에 안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세계 대전의 소년병 - 루디 발레
루디 발레는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에 크루너 창법으로 인기를 얻고 라디오와 영화를 통해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친 미국의 가수, 배우, 밴드 리더, 라디오 진행자이다. - 제1차 세계 대전의 소년병 - 에리히 폰 뎀 바흐
에리히 폰 뎀 바흐는 독일의 친위대 장성이자 경찰 대장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격대 토벌 작전과 바르샤바 봉기 진압을 지휘하며 전쟁 범죄를 저질렀고, 나치당 가입 후 친위대에서 빠르게 승진했으며, 동부 전선 민간인 학살 주도 및 바르샤바 봉기 진압 과정에서 대규모 학살을 자행했고, 종전 후 체포되어 전후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사망했다. - 러시아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엠마 골드만
엠마 골드만은 리투아니아 출신의 아나키스트, 페미니스트, 반전주의자로서, 20세기 초 미국에서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하며 자본주의와 국가를 비판하고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평등을 옹호했다. - 러시아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알렉산드르 로딤체프
알렉산드르 로딤체프는 붉은 군대의 장교로, 스페인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두 번의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제13 근위 소총 사단을 지휘하여 뛰어난 업적을 세웠다. - 소련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카롤 시비에르체프스키
카롤 시비에르체프스키는 폴란드의 공산주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러시아 내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스페인 내전에 참전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 장군으로 복무했으며, 종전 후 폴란드 공산 정권 수립에 참여하여 반공 세력 탄압에 관여했지만 우크라이나 반군에 의해 사망하여 폴란드 인민 공화국 시절에는 영웅으로 칭송받았으나 논란으로 인해 현재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 소련의 스페인 내전 관련자 - 일리야 예렌부르크
일리야 예렌부르크는 러시아의 작가, 저널리스트, 혁명가로, 제1차 세계 대전 종군 기자, 스페인 내전 및 독소전쟁 참전, 스탈린 시대 비판, 소설 『해빙』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전쟁의 참혹함과 인간의 존엄성을 알린 인물이다.
로디온 말리놉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Rodion Yakovlevich Malinovskiy |
우크라이나어 | Родіо́н Я́кович Малино́вський (Rodion Yakovych Malynovskyi) |
출생일 | 1898년 11월 23일 |
사망일 | 1967년 3월 31일 (향년 68세) |
출생지 | 오데사, 러시아 제국 |
사망지 | 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
안장지 | 크렘린 벽 묘지, 모스크바 |
소속 정당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1926–1967) |
충성 | ]] (1914–1917) | (1919–1922) | (1922–1967)}} |
복무 기간 | 1914–1967 |
최종 계급 | 소비에트 연방원수 (1944–1967) |
군사 경력 | |
주요 전투 |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스페인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독소 전쟁 제2차 하르코프 공방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제1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부다페스트 공세 부다페스트 포위전 브라티슬라바-브르노 공세 소련-일본 전쟁 만주 작전 힌간-무크덴 작전 쿠바 미사일 위기 |
훈장 | 소련 영웅 (2회) |
정치 경력 | |
직책 | 소련 국방부 장관 |
임기 시작 | 1957년 10월 26일 |
임기 종료 | 1967년 3월 31일 |
대통령 |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이전 | 게오르기 주코프 |
이후 | 안드레이 그레치코 |
2. 초기 생애
로디온 말리놉스키는 1898년 러시아 제국 오데사에서 카라이트계 유대인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학교를 그만두고 농민, 심부름꾼 등으로 일하며 어려운 생활을 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러시아군에 지원하여 기관총 사수가 되었다. 부상과 진급을 거쳐 러시아-프랑스 파견군의 일원으로 프랑스로 건너갔다. 10월 혁명에 동조하여 프랑스 당국에 체포되기도 했다. 1919년 러시아로 돌아와 붉은 군대에 합류, 러시아 내전이 끝날 때까지 극동에서 콜차크 군과 전투를 벌였다.
1926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고, 1927년에는 대대장이 되었다.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에서 수학하고 1930년에 졸업했다. 이후 제2 기병 사단 참모장, 사단장을 역임했다. 4년간 참모 본부에서 근무한 후 베사라비아에서 기병 군단장을 맡았다. 스페인 내전에서는 "마리노 대령"으로 불리며 공화국군의 군사 고문으로 활동했다. 그 후 소장으로 진급,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 교관이 되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로디온 말리놉스키는 1898년 러시아 제국 오데사에서 우크라이나인 아버지와 카라이트계 유대인 혈통의 미혼모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는 어려운 가정환경 속에서 성장했으며, 농장 노동자, 심부름꾼 등으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1]2. 2.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이 1914년 7월에 발발하자, 당시 15세였던 말리놉스키는 징병 연령이 되지 않았음에도 독일 전선으로 가는 군용 열차에 몰래 탔다가 발각되었다. 하지만 그는 지휘관들을 설득하여 자원 입대하였고, 참호전의 기관총 부대에서 복무하게 되었다.[1] 1915년 10월, 독일군의 공격을 막아낸 공로로 4등급 성 게오르기 십자 훈장을 받고 하사로 진급했다.[1] 얼마 후, 그는 심한 부상을 당해 몇 달간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1]회복 후, 1916년 서부 전선으로 파견된 러시아 파견군에 합류하여 프랑스로 갔다.[1] 말리놉스키는 브리옹 요새 근처의 치열한 전투에 참여하여 상사로 진급했다.[1] 그는 왼쪽 팔에 심각한 부상을 입었지만, 프랑스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다.[1] 볼셰비키 혁명 이후, 프랑스 정부는 일부 러시아 부대를 해산했지만, 다른 부대는 모로코 사단에 배속된 러시아 군단으로 재편되었다.[1] 말리놉스키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독일군과 계속 싸웠다.[1] 이 기간 동안 그는 프랑스 무공 십자 훈장을 받았고 선임 부사관으로 진급했다.[1]
2. 3. 전간기
1919년 오데사로 돌아와 러시아 내전에서 붉은 군대에 입대하여 백군과 싸웠으며 시베리아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군에 남아 하급 지휘관 훈련 학교에서 공부했으며, 소총 대대 지휘관으로 승진했다. 1926년에는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다. 군대에서 승진하려면 당원 자격이 필수였다.1927년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에 파견되어 공부했으며, 1930년에 졸업했다. 그 후 7년 동안 세묜 티모셴코 (요시프 스탈린의 측근)가 지휘하는 제3 기병 군단의 참모장을 역임했다.
1936년 스페인 내전이 시작된 후, 말리놉스키는 프란시스코 프랑코 장군의 우익 민족주의자들과 그들의 이탈리아 파시즘 및 나치 독일 동맹에 맞서 제2 스페인 공화국을 위해 싸우기 위해 자원했다. 그는 여러 주요 작전을 계획하고 지휘하는 데 참여했다. 1938년, 스페인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레닌 훈장과 붉은 깃발 훈장을 수여받고 모스크바로 돌아와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의 수석 강사로 임명되었다.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년에 말리놉스키는 오데사 군관구 제9독립군 제48군단장에 임명되었다. 독소전쟁에서 남부 전선의 제6군, 제12군을 지휘했으며,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제2근위군을 지휘하여 독일군을 격파하고 대장으로 승진했다. 이후 남부 전선, 남서 전선, 제2우크라이나 전선, 제3우크라이나 전선을 지휘하여 루마니아, 헝가리, 슬로바키아로 진격, 독일군을 몰아냈다. 1944년 9월 소련 원수로 진급하여 루마니아군의 항복을 받았고, 1945년 4월 연합국의 루마니아 관리 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1945년 8월 자바이칼 전선으로 이동하여 일본군과의 전투에 참전했다.
3. 1. 초기 활동
1941년 독소전쟁 발발 당시 말리놉스키는 오데사 군관구 제48소총군단장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8월 남부 전선에서 제6군을, 12월부터 제12군을 지휘하며 독일군에 맞서 싸웠다.3. 2. 스탈린그라드 전투
1942년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말리놉스키는 제2근위군을 지휘하여 독일군을 격파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공로로 대장으로 진급하고 수보로프 훈장 1등급을 수여받았다.[1]3. 3. 우크라이나 전선
1943년 2월, 대장으로 승진하여 남부 전선 사령관이 되었다. 이후 전황에 따라 남서 전선, 제2우크라이나 전선, 제3우크라이나 전선을 지휘하며 루마니아, 헝가리, 슬로바키아로 진격하여 독일군을 몰아냈다. 1944년 9월, 소련 원수로 진급하였고, 루마니아군의 항복을 받아냈다.[1] 1945년 4월에는 연합국의 루마니아 관리 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1]3. 4. 만주 작전
1945년 5월 독일 항복 이후 말리놉스키는 러시아 극동으로 전출되어 자바이칼 전선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1945년 8월, 그는 알렉산드르 바실레프스키의 총지휘 아래 전쟁의 마지막 소련 공세를 이끌었다. 바실레프스키의 부대는 70만 명 규모의 일본군 관동군이 점령하고 있던 만주를 침공하여 10일 만에 일본군을 격파했다. 말리놉스키는 소련 최고의 영예인 소련 영웅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스탈린에 의해 소련 최고 소비에트의 구성원으로 임명되었다.4. 전후 활동
종전 후, 말리놉스키는 자바이칼-아무르 군관구 사령관을 맡았다. 1946년부터 최고 소비에트 대의원을 지냈고, 1947년 소련 극동군 총사령관에 취임하여 한국 전쟁 당시 중국 인민해방군 및 조선 인민군과 긴밀히 연계했다. 1954년 극동 총군이 해산되자 극동군관구 사령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1956년 3월 이반 코네프의 뒤를 이어 육군 총사령관 겸 국방 차관(부국방장관)이 되었고, 이듬해 게오르기 주코프의 후임으로 국방장관에 취임했다. 1959년 러시아 공화국 최고 회의 대의원을 겸임했다. 1952년 당 중앙 위원회 위원 후보, 1956년 중앙 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말년에는 당뇨병과 심장 질환으로 고생했으며, 국방 장관 재임 중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4. 1. 군사 경력
1945년 종전 후, 말리놉스키는 자바이칼-아무르 군관구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946년부터 최고 소비에트 대의원을 겸임하였고, 1947년에는 소련 극동군 총사령관에 취임했다. 한국 전쟁 당시 중국 인민해방군 및 조선 인민군과 긴밀한 연계를 가졌다. 1954년 극동 총군이 해산됨에 따라 극동군관구 사령관으로 전임되었다.[4][5][6]1956년 3월, 이반 코네프의 후임으로 육군 총사령관 겸 국방 차관(부국방장관)에 취임했다. 이듬해 게오르기 주코프가 해임되자 그의 후임으로 국방장관에 취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직했다. 1959년에는 러시아 공화국 최고 회의 대의원을 겸임했다. 1952년 당 중앙 위원회 위원 후보로 선출되었고, 1956년에는 중앙 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4][5][6]
말리놉스키는 흐루쇼프의 핵 억제력 중심 군사 전략에 반대하며, 재래식 전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전략 핵 미사일의 채택을 지지했지만, 그것을 전쟁의 주요 무기가 아닌, 유용한 전쟁 억제 수단으로 보았다. 그는 광범위한 군사력 개념을 개발했으며, 전쟁의 본질은 변했지만, 결정적인 요소는 현대 군사 기술에 능숙하고 적의 영토를 정복하고 통제할 수 있는 상비군이 될 것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했다.[4][5][6]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말리놉스키는 군 간행물에서 군대가 소련의 전략 정책 수립에 더 큰 발언권을 가져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1964년 10월 흐루쇼프가 권력에서 축출된 후, 새로운 당 지도부는 자율적이고 전문적인 군사 조직에 대한 말리놉스키의 요구와 군대의 균형 있는 발전이라는 그의 개념을 받아들였다.[4][5][6]
말리놉스키는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에 강력히 반대하며, 미국을 "베트남 국민에 대한 살인적인 전쟁"을 벌이는 자들로 비난했다.[7] 미국 측의 군사적 공격이 고조되자, 말리놉스키는 소련의 대규모 군사력 증강을 촉구했다. 그는 또한 중국 정부가 북베트남에 대한 소련의 지원을 방해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전쟁에 대한 중국의 개입을 비판했다.[8]
만년에 말리놉스키는 당뇨병과 심장 질환으로 고생했으며, 1967년 췌장암으로 사망할 때까지 국방 장관으로 재임했다.
4. 2. 정치 경력
1946년부터 최고 소비에트 대의원을 역임했다.[1] 1952년 당 중앙 위원회 위원 후보, 1956년 중앙 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1] 1959년 러시아 공화국 최고 회의 대의원을 겸임했다.[1]직위 | 기간 |
---|---|
최고 소비에트 대의원 | 1946년 ~ 사망 시 |
당 중앙 위원회 위원 후보 | 1952년 ~ 1956년 |
당 중앙 위원회 위원 | 1956년 ~ 사망 시 |
러시아 공화국 최고 회의 대의원 | 1959년 ~ 사망 시 |
5. 사망과 유산
말리놉스키는 1967년 3월 31일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그는 국장으로 장례를 치른 후 화장되었으며, 그의 유골함은 크렘린 벽 묘지에 안치되었다. 정부는 그의 이름을 모스크바 기갑부대 군사 아카데미와 제10근위 우랄-리보프 기갑 사단에 부여했다. 말리놉스키는 소련 해체 이후에도 러시아 역사상 가장 중요한 군사 지도자 중 한 명으로 계속 여겨졌다.
6. 상훈
참조
[1]
서적
Die deutschen Kriegsgefangenen in sowjetischer Hand. Eine Bilanz
[2]
뉴스
Ein schwarzer Tag für die Deutschen
http://www.siebenbue[...]
2004-08-22
[3]
서적
Pe umerii lui Marx. O introducere în istoria comunismului românesc
Editura Curtea Veche
[4]
서적
The Origins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e Coming Cataclysm, 1961 – 1965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Mao Cult: Rhetoric and Ritual in China's Cultural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Nuclear Asymmetry and Deterrence: Theory, Policy and History
Routledge
[7]
뉴스
Malinovsky Accuses U.S.
http://timesmachine.[...]
2024-01-21
[8]
뉴스
Malinovsky Criticizes Peking
http://timesmachine.[...]
2024-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